티스토리 뷰

물리학적 개념이 생소한 분들도 이해할 수 있도록, 이번 "지구 극 위치 1.1m 이동" 현상을 쉬운 비유와 함께 설명드리겠습니다.


🧭 요약: 인간이 만든 이 지구의 '회전 중심축'을 밀어냈다

✅ 극 위치가 1.1m 움직였다는 말은?

  • 지구의 자전축(극 위치), 즉 **지구가 도는 중심축의 끝 점(북극점)**이
    1835년~2011년 사이 약 1.1미터 옆으로 밀려났다는 뜻입니다.

🧠 쉽게 풀면 이렇게 이해하세요:

🎯 비유 1: 회전하는 탑 블레이드

  • 탑 블레이드(팽이)가 균형 잡힌 상태에서 돌고 있을 때,
    한쪽에 작은 쇳덩이를 붙이면 회전 중심이 살짝 기울고 흔들리는 현상이 생깁니다.
  • 똑같이, 지구도 중심에서 균형 있게 돌고 있다가
    어느 한쪽에 **물(=질량)**이 많이 모이면 중심축이 조금씩 움직입니다.

💧 왜 댐이 문제인가요?

🌍 지구는 '질량의 분포'에 따라 회전축이 정해져요.

  • 지구는 균일하지 않은 덩어리예요.
    지표 위에 무거운 물체가 쌓이거나, 물이 이동하면
    지구 내부의 '맨틀'이 살짝 움직이고, 그 결과로
    지구 자전축(극점)이 미세하게 방향을 바꿉니다.

📌 실제 현상 정리

구분기간주요 댐 건설 지역극 위치 이동 방향이동 거리
1차 1835~1954 북미, 유럽 동경 103도 쪽 (러시아·몽골) 약 20cm
2차 1954~2011 동아프리카, 아시아 서경 117도 쪽 (북미·남태평양) 약 57cm
전체 1835~2011 전 세계 6,862개 대형 댐 누적 이동 거리 약 1.1m
 

🏞️ 이 댐들에 저장된 물의 양은 그랜드캐니언 2개를 채울 수 있는 수준이며,
바다의 물을 육지로 끌어올려 저장함으로써 전 세계 해수면도 약 23mm 낮아졌습니다.


🧲 물리 개념 요약

용어의미
극 위치 이동 자전축의 끝점(북극/남극)이 실제로 이동한 거리
진극배회(True Polar Wander) 지구 내부 또는 표면의 질량 재분포로 인해 극 위치가 이동하는 현상
질량 재분포(Mass redistribution) 물·빙하·암석 등의 무게가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옮겨지며 중심에 영향을 미침
지구 맨틀 지각 바로 아래 있는, 액체처럼 유동적인 지구 내부층. 댐의 무게는 이 맨틀을 ‘눌러’ 형태를 바꿈
 

🛠️ 왜 중요한가요?

  • ❗ 극 위치가 바뀐다고 해서 우리 일상에 즉각 큰 변화는 없지만,
    ✔️ **정밀 위성 시스템(GPS)**이나 기후 변화 예측 모델에 영향을 줄 수 있어요.
  • ❗ 무엇보다, 해수면 변화 예측에서 댐의 역할을 간과하면
    예상보다 바다가 더 높아지거나 낮아질 수 있는 오차가 생깁니다.

✅ 한 줄 요약

댐은 물을 가둬서 질량 분포를 바꾸고, 이것이 지구의 회전 중심축(극 위치)을 1.1m나 움직였습니다.
지구는 고정된 쇠구슬이 아니라, 살아 움직이는 유동적 덩어리라는 걸 보여주는 사례입니다.
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7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
글 보관함